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의 모든것, 알아두면 좋은 정보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24세 청년의 든든한 지원금, 알아두면 좋은 모든 것

 

경기도에 살고 있는 24세 청년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복지 혜택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기본소득’인데요. 오늘은 이 정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 방법부터 효과까지 모든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이란?

 

청년기본소득은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기본소득제도입니다. 행복추구, 삶의 질 향상 등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책으로, 2016년 성남시에서 ‘청년배당’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다가 2019년부터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의 주요 목적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2019년 도입된 이래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청년 지원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의 핵심 목적은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청년층의 사회적 권리 보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데 있습니다.
최근 2024년 3월 개정된 조례(경기도조례 제7925호)를 통해 그 목적이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세 가지 축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청년기본소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24세 청년
  • 경기도 내에 3년 이상 계속 거주했거나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

다만, 2025년부터는 성남시와 고양시는 각각 조례폐지와 시비 미편성으로 인해 청년기본소득 사업을 중단했기 때문에, 해당 지역 거주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당 분기별 25만원, 연간 최대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일시금으로 지급 가능(수급자증명서 필수제출)
  • 지급된 지역화폐의 유효기간은 3년이며, 시흥·군포·과천 지역은 5년입니다

어떻게 신청하면 될까?

 

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분기 신청기간 : 2025년 3월 1일(토) 9:00 ~ 3월 31일(월) 18:00
    –  2분기 신청기간 : 2025년 5월 1일(목) 9:00 ~ 5월 30일(금) 18:00
    –  신청방법 :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바(apply.jobaba.net)’를 통한 온라인 신청
    –  필요서류 : 신청일 현재 발급분 주민등록초본(발생일·신고일·변동사유, 최근 5년 또는 전체 주소변동이력,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포함)

2025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올해부터는 청년기본소득에 몇 가지 변화가 생겼습니다:

  1. 사용지역 확대 : 청년기본소득 사용지역이 거주지 시·군에서 경기도 전체로 확대됩니다.
  2. 사용처 제한 : 노래방, 술집, 모텔 등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처가 제한됩니다.
  3. 지급 방식 변경 : 기존 분기별 4회 신청·지급 방식에서 2001년생부터는 1회 신청으로 일시급 지급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청년기본소득의 효과는?

경기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년기본소득은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 건강생활 개선 : 정신건강, 운동빈도, 식생활 분야에 긍정적 영향
  • 노동시간 증가 : 일반적인 우려와 달리, 노동시간이 오히려 주당 1.3시간 증가?
  • 자기계발 투자 : 자기계발비, 교육비에 사용된 지출액 증가

경기도 청년들의 인터뷰에 따르면, 기본소득이 “다시 시작할 기회와 도전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현했습니다.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다양한 시각

 

청년기본소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청년기본소득 에 대한 찬성 의견:
– 청년들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음
–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
– 소비 증가로 내수 시장 활성화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반대 의견 :
– 증세가 불가피함
– 저소득층에 집중 지원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
– 노동 의욕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

마치며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정책입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24세 청년이라면, 이 혜택을 꼭 챙겨보세요!

문의사항은 경기도 콜센터(☎031-120) 또는 청년기본소득 콜센터(☎1877-0566)로 연락하시면 더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20].

여러분의 경험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정보를 나누어 보아요!

경기도청 https://www.gg.go.kr/contents/contents.do?ciIdx=1037&menuId=2736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와 조건 초과 시 대처법 총정리

댓글 남기기